본문 바로가기
건강

7세 남아의 공격적 행동 특징과 원인 및 해결 방안

by 영아르고호 2025. 2. 5.

 


1. 서론

아동의 성장 과정에서 공격적인 행동은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. 특히 7세 남아는 신체적, 정서적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로,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이 미숙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때때로 친구나 가족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7세 남아가 보이는 공격적 행동의 특징을 살펴보고, 원인과 해결 방법을 제시하여 부모와 교사가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.


2. 7세 남아의 공격적 행동 특징

7세 남아의 공격적 행동은 크게 신체적 공격성, 언어적 공격성, 간접적 공격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1) 신체적 공격성

신체적 공격성은 직접적인 물리적 행동을 포함하며,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  • 친구를 때리거나 밀기
  • 발로 차거나 꼬집기
  • 물건을 던지거나 부수기
  • 장난감이나 학용품을 던지며 화를 표현하기

2) 언어적 공격성

언어를 통한 공격적인 행동도 흔히 관찰됩니다.

  • 친구나 어른에게 욕설 또는 비속어 사용
  • "싫어!", "나가!", "너랑 안 놀아!" 같은 부정적인 표현을 반복
  • 소리를 지르거나 울며 화를 표현
  • 친구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말을 일부러 함

3) 간접적 공격성

직접적인 폭력이 아닌, 간접적으로 상대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입니다.

  • 친구를 따돌리거나 무시함
  • 거짓말을 하여 다른 사람을 곤란하게 만듦
  • 친구의 물건을 숨기거나 훼손
  • 부모나 교사에게 상대를 험담하여 불이익을 주려 함

이러한 행동들은 일시적인 경우도 있지만,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 심리적 문제나 환경적 요인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.


3. 7세 남아의 공격적 행동 원인

아이의 공격적인 행동은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됩니다.

1) 정서적 요인

  • 감정 조절 능력 부족
    • 7세 아이는 아직 감정을 통제하는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습니다.
    • 분노나 좌절을 느낄 때 공격적인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  • 불안과 스트레스
    • 가정 내 갈등(부모의 다툼, 형제 간 경쟁)이 아이에게 불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학교에서의 적응 문제나 친구 관계에서의 어려움도 스트레스를 줍니다.
  •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(ADHD)
    • ADHD를 가진 아이들은 충동 조절이 어렵고, 쉽게 흥분하여 공격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
2) 환경적 요인

  • 가정 환경
    • 부모가 아이 앞에서 자주 다투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보일 경우, 아이가 이를 따라 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부모가 너무 엄격하거나, 반대로 지나치게 관대하면 아이가 공격성을 조절하기 어려워집니다.
  • 미디어의 영향
    • 폭력적인 TV 프로그램, 게임, 유튜브 영상 등을 자주 접하면 공격적인 행동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.
  • 또래 관계
    • 친구들 사이에서 힘을 과시하려는 욕구로 인해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따돌림을 당하거나 소외감을 느끼면,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어적 공격성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.

4. 7세 남아의 공격적 행동 해결 방법

1) 감정 조절 능력 기르기

  •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지도
    • 예: "화가 날 때는 '나 지금 속상해'라고 말해보자."
  • 심호흡이나 숫자 세기 등 감정 조절 전략 가르치기
  • 그림이나 글로 감정을 표현하도록 유도

2) 긍정적 행동 강화하기

  • 공격적인 행동을 했을 때 단호하게 제지
  •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즉시 칭찬
    • 예: "친구에게 양보해 줘서 정말 멋지구나!"

3) 일관된 규칙과 보상 시스템 적용

  • 공격적인 행동에 대해 일관된 규칙을 정하고, 이를 지키도록 지도
    • 예: "친구를 때리면 놀이터에서 쉬어야 해."
  • 올바른 행동을 하면 보상을 주는 시스템 활용
    • 예: "한 주 동안 친구와 다투지 않으면 특별한 간식을 주겠다."

4) 대체 행동 가르치기

  • 공격적인 행동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줌
    • 예: "화가 날 때는 주먹을 쥐는 대신 손을 가슴에 얹고 천천히 숨을 쉬어 보자."

5) 미디어 사용 조절

  • 폭력적인 콘텐츠 노출을 제한
  • 부모가 함께 시청하면서 올바른 가치관 교육

6) 가정 내 분위기 조성

  • 부모가 모범적인 태도를 보이며 감정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줌
  • 충분한 애정을 표현하여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도록 함

7) 또래 관계 지도

  • 친구와 놀이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, 협력적인 놀이 기회를 제공
  • 갈등이 발생했을 때 해결하는 방법을 연습하도록 돕기

8) 전문가 상담 고려

  • 아이의 공격성이 지나치게 심하거나, 지속될 경우 심리 상담이나 치료를 고려
  • ADHD나 정서적 문제 가능성을 평가받고 적절한 개입 시행

5. 결론

7세 남아의 공격적인 행동은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일 수 있지만, 지속적이거나 심한 경우 적절한 개입이 필요합니다. 감정 조절 능력을 길러주고,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며, 부모와 교사가 일관된 지도를 한다면 공격적인 행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. 또한, 미디어 환경을 조절하고 건강한 또래 관계 형성을 돕는 것도 중요합니다.

무엇보다도 아이가 안정적인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가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. 필요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보다 체계적인 지원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